로마 공화정 형성 과정 기원전 509년 에트루리아 출신 마지막 왕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를 몰아낸 로마인들은 공화정이라는 새로운 체제를 출범시켰습니다. 공화정은 정무관, 민회, 원로원이 서로 세력 균형을 이루며 나라를 이끌어 가는 체제입니다. 왕 대신에 선출된 2인의 고위 정무관인 콘술들은 켄투리아 민회에서 혈통 귀족 출신자들 중에서 선출되었고 1년 임기 동안 서로 협의하면서 왕이 가지고 있던 통치권을 행사했습니다. 그러나 공화정 초기 귀족들의 콘술직 독점에 불만을 품은평민들이 신분 투쟁을 벌이면서 기원전 367년에 콘술직 두 자리 중 한자리는 평민 출신에게 할당되었습니다. 이때부터 평민 출신이라도 콘술직을 역임하면서 귀족층에 합류했기 때문에 로마 사회에는 혈통 귀족과 함께 새로운 지배층이 된 신귀족층,..